한부모가족 지원 대상.혜택.신청방법. 사회적 약자로 만 18세미만의 미성년 자녀와 손자녀를 두고있으며 부모의 한쪽 또는 양쪽이 사망, 이혼, 별거, 유기, 미혼모등의 이유로 혼자서 자녀를 키우며 부모 역할을 해야 합니다.
한부모가족 핵심 정리
지원대상 : 한부모가족, 조손 가족, 청소년 한부모가족
지원내용 : 공공주택, 아동양육비, 학용품비, 생계비 등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부모가족 지원 대상.혜택.신청방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한부모가족 이란?
18세 미만의 미성년 자녀를 둔 가정에서 부모의 한쪽 또는 양쪽이 사망 ·이혼 ·별거 ·유기·미혼모 등의 이유로 혼자서 자녀를 키우며 부모 역할을 담당하는 한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가족
한부모가족 지원 대상
1.한부모가족
모자가족 및 부자가족
2.조손가족
이혼,유기,행방불명,실종,사망,경제적 사유 등으로 부모로부터 사실상 부양을 받지 못하는 아동을 외(조부)또는 (외)조모가 양육하는 가족
3.청소년 한부모가족
한부모 가족으로서,모 또는 부 의 연령이 만 24세 이하인 가족
2023년 기준중위소득 (소득인정액 기준)
구 분 | 1인가구 | 2인가구 | 3인가구 | 4인가구 | 5인가구 | 6인가구 |
중위소득 200% | 4,155,784 | 6,912,310 | 8,869,632 | 10,801,928 | 12,661,376 | 14,455,962 |
중위소득 100% | 2,077,892 | 3,456,155 | 4,434,816 | 5,400,964 | 6,330,688 | 7,227,981 |
중위소득 75% | 1,558,419 | 2,592,116 | 3,326,112 | 4,050,723 | 4,748,016 | 5,420,986 |
중위소득 72% | 1,496,082 | 2,488,432 | 3,193,068 | 3,888,694 | 4,558,095 | 5,204,146 |
중위소득 60% | 1,246,735 | 2,073,693 | 2,660,890 | 3,240,578 | 3,798,413 | 4,336,789 |
중위소득 52% | 1,080,504 | 1,797,201 | 2,306,104 | 2,808,501 | 3,291,958 | 3,758,550 |
중위소득 50% | 1,038,946 | 1,728,078 | 2,217,408 | 2,700,482 | 3,165,344 | 3,613,991 |
한부모가족 지원내용
한부모가족,조손가족
아동양육비 복지급여 소득인정액 기준 : 중위소득 52% 이하이면서 만18세 미만 자녀 양육.
한부모가족 증명서 발급대상 :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이면서 만18세 미만 자녀 양육.

청소년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복지급여 소득인정액 기준 : 중위소득 60% 이하
한부모가족 증명서 발급대상 : 기준 중위소득 72% 이하

준비서류
- 사회복지서비스및 급여제공 신청서
- 금융정보제공 동의서
- 가족관계증명서
- 소득.재산확인 서류
- 신분확인 서류
신청방법
1.신청서 작성 (읍면동)
2.조사(소득및 재산)
3.지원 대상자 결정
4.급여. 서비스
공공주택 지원 ( LH및 지방공사 )

기초생활 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에 해당하는 분들에 대한 추가적인 혜택은 아래 내용을 통해 한번더 확인하시기바랍니다.
이상으로 한부모가족 지원 대상.혜택.신청방법에 관련한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아래에 포스팅을 통해 관련 내용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인기글
최신글
- 서울시 산후조리비 지원금액 .신청방법.대상및 조건 .복지혜택 모음
-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자격 .신청방법.금액 .복지혜택 모두 받는법
- 대전미래두배 청년통장.신청방법.대상.조건. 복지혜택 모음
- 서울런 4050 대상.조건.신청방법. 중장년 혜택 총정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