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부모가정 지원내용 .대상및 조건. 서민지원 혜택 총정리

한부모가정 지원내용 .대상및 조건. 서민지원 혜택 총정리. 우리나라도 통계적으로 계속해서 이혼의 증가로 인해 한부모가정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증가추세와는 달리 한부모 가정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은 아직 거기에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회적 약자를 위한 다양한 정책이 펼쳐지고 있는데요.

한부모가족 핵심 정리

지원대상 : 한부모가족, 조손 가족, 청소년 한부모가족
지원내용 : 공공주택, 아동양육비, 학용품비, 생계비 등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63% 이하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부모가정 지원내용 .대상및 조건. 서민지원 혜택에 대해 총정리해 보겠습니다.

한부모가정 이란?

모자가족 또는 부자가족으로서 18세 미만 (취학 중인 경우에는 22세 미만을 말하되, 「병역법」에 따른 병역의무를 이행하고 취학 중인 경우에는 병역의무를 이행한 기간을 가산한 연령 미만의 자)의 아동을 양육하는 가족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63% 이하(복지급여 지급기준은 기준 중위소득 52% 이하)에 부합하는 경우

한부모가정 지원내용

한부모가족증명서 발급 및 복지급여 지급(기준 중위소득 63% 이하)

아동양육비
지원대상지원금액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63% 이하인 가족의 18세 미만 자녀
* 단, 고등학교 재학(고3 12월까지) 중인 경우 22세 미만 자녀
월 23만원
추가 아동양육비
지원대상지원금액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63% 이하인 조손 및 35세 이상 미혼 한부모가족의 5세 이하 아동자녀 1인당
월 5만원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63% 이하인 25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한부모가족의 5세 이하 아동
자녀 1인당
월 10만원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63% 이하인 25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한부모가족의 6세 이상 18세 미만 아동
* 단, 고등학교 재학(고3 12월까지) 중인 경우 22세 미만 자녀
자녀 1인당
월 5만원
아동교육 지원비 (학용품비)
지원대상지원금액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63% 이하인 가족의 초등학생·중학생·고등학생 자녀자녀 1인당
연 9.3만원
생계비 (생활보조금)
지원대상지원금액
•한부모가족복지시설에 입소한 가족 중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63% 이하인 가족가구당
월 5만원
가족센터 지원대상 및 혜택 받는법 “에 대해서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한부모가정 지원 대상 및 조건

사별, 이혼 등에 의한 한부모가정으로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자

한부모가족증명서 발급대상

  • 세대주인 모 또는 부가 18세 미만(취학 시 22세 미만)의 자녀를 양육하는 경우
  • 가구 소득인정액 기준 중위소득 63% 이하인 경우

한부모가족 복지급여 지급대상

  • 세대주인 모 또는 부가 18세 미만의 자녀를 양육하는 경우
  • 가구 소득인정액 기준 중위소득 63% 이하인 경우

한부모가족

모자가족 및 부자가족

조손가족

이혼,유기,행방불명,실종,사망,경제적 사유 등으로 부모로부터 사실상 부양을 받지 못하는 아동을 외(조부)또는 (외)조모가 양육하는 가족

청소년 한부모가족

한부모 가족으로서,모 또는 부 의 연령이 만 24세 이하인 가족

한부모가족 지원 지급기준

가구규모2025년 중위소득아동양육비 등 복지급여 지원,한부모가족증명서 발급
(기준중위소득 63%)
2인 가구3,932,6582,477,575
3인 가구5,025,3533,165,972
4인 가구6,097,7733,841,597
5인 가구7,108,1924,478,161
6인 가구8,064,8055,080,827

기준중위소득 이란 ?

우리나라 전체 가구를 소득 순으로 순위를 매겨 중간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수준

지원 제외대상 가구

아동양육비

  • 아동복지법에 의한 가정위탁 양육보조금을 받는 경우

아동교육지원비(학용품비)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교육급여
  • 긴급복지지원법에 의한 교육지원

생활보조금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생계급여를 지원받는 경우
  • 긴급복지지원법에 의한 생계지원을 받는 경우
  • 아동복지법에 의한 가정위탁 양육보조금을 받는 경우
육아지원 종류및 혜택 “에 대해서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한부모가정 지원 신청방법

1.신청서 작성 (읍면동)

2.조사(소득및 재산)

3.지원 대상자 결정

4.급여. 서비스

준비서류

  • 사회복지서비스및 급여제공 신청서
  • 금융정보제공 동의서
  • 가족관계증명서
  • 소득.재산확인 서류
  • 신분확인 서류

공공주택 지원 ( LH및 지방공사 )

한부모가족 지원2

한부모가정 지원 복지서비스 모의계산

아래 복지로 사이트를 통해 간단한 소득재산항목을 입력하여 사업별 수혜대상 자가진단이 가능합니다.

한부모가정 지원 자주 묻는 질문

Q1. 한부모가정 지원 혜택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A1: 한부모가정 지원 혜택에는 월동비, 가족문화체험 활동비 지원, 고등학생 자녀 교육비 지원, 그리고 초중고 입학생 교구 교재비 지원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지원을 통해 저소득 한부모 가정이 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Q2. 한부모가정 지원을 신청할 수 있는 기간과 방법은 무엇인가요?

A2. 한부모가정 지원은 상시 신청이 가능하며, 신청 방법은 거주지 관할 동 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하여 신청서를 제출하는 것입니다. 지원 신청은 관할 주민센터나 시·군·구청에서도 접수합니다.

Q3. 한부모가정 지원과 관련된 문의는 어디로 해야 하나요?

A3. 한부모가정지원과 관련된 문의는 여성가족청소년과에 전화로 하실 수 있습니다. 문의 번호는 042-270-3167입니다.

Q4. 초등학생 자녀가 있고, 야간 대리운전 기사를 직업으로 하는 부(父)가 직장과 육아를 병행하기 어려워, 여동생에게 아이를 맡겼을 경우 “양육의 연장선에 있는 자”로 보아 부자가정 선정이 가능한가요?

A4. 지원할 수 있습니다. 원칙적으로 부 또는 모와 그의 자녀가 주소와 세대를 같이 하고 있는 경우에 지원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직업의 특수성 등으로 자녀를 직접 양육할 수 없어 부득이하게 친지 등에게 보내어 주소와 세대를 달리할 경우에는 양육에 대한 의지와 의사[예를 들어 보호자의 정기적·간헐적인 양육비 원조 또는 만남(연락) 등]가 있음을 확인한 후에 지원이 가능합니다.

기초생활 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에 해당하는 분들에 대한 추가적인 혜택은 아래 내용을 통해 한번더 확인하시기바랍니다.

서민지원 혜택 “은 아래 내용을 통해 한번더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한부모가정 지원내용 .대상및 조건. 서민지원 혜택에 관련한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아래에 포스팅을 통해 관련 내용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인기글

최신글

한부모가정 지원내용 .대상및 조건. 서민지원 혜택 총정리 . 끝.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