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휴수당 지급기준 및 계산법. 계산기 사용 쉽게 따라하기 . 개인적인 사정으로 아르바이트나 단기 시간제근무등 비정규직이나 불규칙하게 근무하더라도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시죠? 작은 가게를 경영하는 사장님들이나 아르바이트생들의 경우 잘모르고 넘어가는 부분도 많은데 혹시 나중에라도 주휴수당 미지급으로 서로 불편해 지지 않도록 이번 기회에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휴수당 지급기준 및 계산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주휴수당 이란 ?
근로기준법에서는 사용자는 일주일 동안 규정된 근무일수를 다 채운 근로자에게 유급 주휴일을 주어야 한다라고 명시되어 있고 이 주휴일에 사용자는 근로일과 같은 하루 치 임금을 지급해야 하는데 이것을 주휴수당이라 합니다.
즉, 주휴일에는 근로 제공을 하지 않아도 되며, 1일분의 임금을 추가로 지급받을 수 있다. 월급 근로자의 경우 월급에 주휴수당이 포함돼 있지만, 시간제 근로자 등의 경우 ‘1주일 15시간 이상’ 근무 여부에 따라 주휴수당 지급 여부가 결정된다.
주휴수당 지급기준
– 상시근로자 또는 단기간 근로자에 관계 없이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한 모든 근로자가 적용 대상이 됩니다.
– 근로 계약서상 근무일에 모두 개근해야 합니다.
– 다음주에 근로가 계획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퇴직한 마지막주는 주휴수당 제외)
– 상시 근로자 숫자에 제한이 없습니다.( 근로자 1명을 고용해도 주휴수당을 지급해야 함 )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 = 1일 소정근로시간 X 시급
소정근로시간 이란?
휴게시간을 제외한 총 근로 시간
주휴수당 계산 예시
간단하게 시급 1만원에 하루 4시간 주5일 총 20시간 근무시 1개월후 주휴수당은?
– 주휴수당 = 4시간 X10000= 4만원
– 1주일을 개근하면 다음주에 4만원이 생기므로 4만원X4주 하면 약 16만원 입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만약 4주만 근무하고 퇴사시 마지막 근무한주는 주휴수당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주휴수당은 그다음주에도 계속적으로 근무한다는 조건하에 지급하는것이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2022년 최저시급은 9160원입니다.

주휴수당 계산기
주휴수당 계산기는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https://shiftee.io/campaign/weeklyPaidHolidayPayCalculator
주휴수당 계산기 | 시프티알바 주휴수당 계산해보세요shiftee.io
주휴수당은 안주면 어떻게 하죠?
주휴수당은 근로계약서에 명시하든 안하든 근로기준법에 명시된 사항이므로 사업주가 안준다면 관할 고용노동부에 신고하셔서 받을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지급기한
주휴수당의 지급기한은 퇴직금과 같이 퇴직후 14일 이내 입니다.그러므로 ,14일 이내 지급하지 않으면 임금체불로 신고가 가능합니다.
체불된 임금을 받는 간이대지급금( 소액 체당금 )은 퇴직자 뿐만아니라 재직자도 청구가 가능하니 근로자라면 꼭 아셔야할 지식입니다.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어 한번씩 읽어보고 필요한 부분은 메모해 두시기 바랍니다.
” 간이대지급금( 소액 체당금 ) 지급절차 ” 자세히 알아보기
주휴수당 특이사항
-주휴수당은 1일 최고 근로시간을 8시간으로 계산합니다. 그러므로 8시간 초과 근무하여다 하더라도 초과시간은 계산하지 않습니다.
– 지각이나 조퇴의 경우도 결근이 아니므로 주휴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주휴수당 지급기준 및 계산법. 계산기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아래 포스팅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